문학 번역(79)
-
2021/09/27
1) 오늘의 할 일: Walt Whitman’s ‘The Song of Myself’ 원문 읽기 (화이팅) 2) 지금 읽고 있긴 한데 확실히 시는 번역으로 옮기기에 너무 불리한 장르인 것 같단 생각에 그냥 위대한 개츠비 이어서 할까, 계속 고민이 되지만 그래도 30분이라도 제대로 읽어보겠다. 3) 아무래도 안 되겠어서 그냥 위대한 개츠비 2장 뽑아왔다. (한 번 더 화이팅) 오늘의 표현: vernacular (BONUS) (BONUS 2)
2021.09.27 -
#050: F. 스콧 피츠제럴드, "위대한 개츠비: 제1 장" (완)
위대한 개츠비 글쓴이ㆍF. 스콧 피츠제럴드 번역ㆍ오성진 (표지 사진 출처 / 본문 사진 출처) PART3 베이커 양과 나는 아무 의미도 담기지 않은 눈빛을 주고받았다. 난 말이라도 건네보려고 입을 열었지만 베이커 양은 곧바로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 내게 “쉿!”하고 경고 신호를 보냈다. 방안에서는 들릴듯 말듯한 대화소리가 흘러나왔고 베이커 양은 창피하지도 않은지 소리를 엿듣기 위해 몸을 앞으로 기울였다. 웅얼거리던 소리는 한자리에서 만나 고조되었고, 또 다시 낮아지다가도 확 커졌다가 일순간에 약속한듯이 완전히 자취를 감췄다. 내가 입을 열었다. “당신이 말했던 개츠비라는 사람, 실은 제 이웃이…” “이야기하지 마세요. 무슨 말이 오가고 있는지 듣고 싶단 말이예요.” “무슨 일이라도 있나요?” 나는 무고한 ..
2021.09.26 -
2021/09/26: Dear Frank,
Dear Frank, 1) 오늘의 할 일: ‘The Great Gatsby (3)’ 번역 이어서 하기. (어쩌면 존나 어이없게 오늘 다 끝내버릴수도?) 2) 이탤릭체, 큰따옴표, 볼드체, 등등 미국의 글쓰기에서 유용하게 쓰이는 효과들을 (너무 아쉽지만 내가 나름 정한 기준선이라는게 있다보니) 나는 한국어로 사용하지 말자고 정해뒀는데, 이제는 빠빠(- -)도 보내줘야 할 때가 온 것 같다. (이유? 라고 하면 아직까진 너무도 멀어서 거북하게 보이고 젠체하는 드산 인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아직 건너오지 않았기 때문에 나라도 앞장서서 데려와야 하는 것 아니냐, 하는 말엔 어떻게 반론을 할 수 있을지 생각해본다면 모든 일엔 순서가 있는 거 아닐까?라고 답해주고 싶다. 우선은 밑줄강조법 부터 제대로..
2021.09.26 -
#049: F. 스콧 피츠제럴드, "위대한 개츠비: 제1 장" (2)
위대한 개츠비 글쓴이ㆍF. 스콧 피츠제럴드 번역ㆍ오성진 (표지 사진 출처 / 본문 사진 출처) PART 2 톰의 목소리는 그의 외관이 뿜어내는 아우라와 어긋나는 일 없이 낮고 거칠었다. 톰의 내뱉는 말들에는 어딘가 가부장적인 증오심 비스무리한 감정이 담겨있었는데, 그가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도 그런 느낌이 전달되었고 대학교 시절엔 바로 그 점 때문에 그를 싫어하는 사람도 여럿 있었다. “자자, 내가 말한대로만 진행될거라고 지레 겁먹을 필요 없다고,” 그는 이렇게 말하는 것만 같았다, “내가 너보다 더 강하고, 더 남성적이라는 이유만으로 말이야.” 우리는 학생회 생활을 같이 한 적이 있었는데, 비록 톰과 친하게 지내지는 않았지만 난 언제나 그가 나를 인정해주고 나로 하여금 톰만의 거칠고 고집스러운 열정이 섞인..
2021.09.25 -
2021/09/25
*Enjoy the ride Up, Willingly go Down. Then maybe, just maybe, happily Forward. 1) 오늘의 할 일: ‘The Great Gatsby (2)’ 번역 마치고 ‘The Great Gatsby (3)’ 번역 시작. 2) 한국 사회의 농담과 미국에서의 농담 사이에 갭이 있기 때문에 자칫 돌려서 말한 농담임에도 문자 그대로 들릴 수도 있는 위험을 부담하지 않기 위해선 의역을 해야할 때가 있는 것 같다. 3) 문학을 번역할 때는 캐릭터 간에 관계를 잘 파악해서 (그러지 못할 경우, 신중하게 설정해서) 존대 여부를 놓치지 않아야 한다. 4) ‘The Great Gatsby (2)’ 번역 완료. #049: F. 스콧 피츠제럴드, "위대한 개츠비" (2) 위..
2021.09.25 -
2021/09/24
1) 오늘의 할 일: ‘The Great Gatsby (2)’ 번역 이어서 하기. 2) ‘Rhyming’과 ‘ wordplay’에 너무 목숨 걸지 말기. 3) 새삼스럽게 한국어에는 “knuckle”을 의미하는 단어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있을법한데 한국어에는 없는 표현들"이란 문서 파일을 하나 장만해야겠다. 요즘 이모저모 잡다한 문서들을 두세 개 만든 것 같은데, 이걸 마지막으로 추가적인 문서는 왠만하면 만들지 않는 편으로 생각하고 있자. 4) 격앙과 격양의 차이: 문감? 어감? 상으로 내가 느꼈을 때에는 격앙과 격양모두 정적이지 않고 흥분하듯이 에너지가 있는 느낌이고 차이점은 격양은 예문으로만 봤을 때 힘찬 느낌이고 격앙은 분노가 조금 더해진 느낌인 것 같다. (출처: 피치톤드의 블로그) 오늘..
2021.09.24 -
2021/09/23: 드디어 글감이 떠올랐다.
1) 오늘의 할 일: ‘The Great Gatsby (2)’ 번역 이어서 하기. 2) [그녀가 옆눈으로 나를 힐끗 봤다고 한들 나로선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던데다가 오히려 나는 너무도 놀라서 나의 등장이 그녀를 방해했단 생각에 나도 모르게 사과를 할 정도였다.]: ‘나'가 너무 많아. 3) ‘한국에서 이상하게 알려진 단어들': [*영단어는 자기들끼리 품사를 바꿔가며 언제든 서로 합쳐질 준비가 되어있는 유기체 마냥 움직이기 때문에 단어의 뜻을 제대로 알아두어야 훨씬 더 유연하게 쓸 수 있다. ex. elaborate (“정교한”이라고 하긴 하지만 너무 “말을 잘한다”에 치중하려는 경향이 있음) / conscientious (“양심적인" 으로만 되어있음) / (...)] 4) [Her face was s..
2021.09.23 -
#048: F. 스콧 피츠제럴드, "위대한 개츠비: 제1 장" (1)
위대한 개츠비 글쓴이ㆍF. 스콧 피츠제럴드 번역ㆍ오성진 (표지 사진 출처 / 본문 사진 출처) 그녀를 감동시킬 수만 있다면, 그렇다면 황금 모자를 써라. 높이 뛸 수 있다면, 그렇다면 그녀를 위해서도 높이 뛰어봐라. 그녀가 “내 사랑, 황금 모자를 쓰고 높이도 뛸 수 있는 내 사랑, 난 당신을 가져야만 겠어요!”라고 외칠 때 까지. -토마스 파케 딘빌리에즈 (THOMAS PARKE D’INVILLIERS) 제1 장 내가 지금보다 더 어리고 나약했던 시절, 아버지께서는 지금까지도 내 머릿속을 맴맴 돌고 있게 된 조언 하나를 건네주셨다. “누군가를 비판할 생각이 들거든,” 아버지께서 말씀하셨다, “세상 모든 사람들이 너에게 주어졌던 모든 혜택을 누려온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꼭 기억하렴.” 아버지께서는 그 외..
2021.09.22 -
2021/09/22
1) 오늘의 할 일: ‘The Great Gatsby (1)’ 번역 이어서 하기 (아마 2편까지 하게 될 듯?) 2) 피츠제럴드는 워낙에 형용어구를 많이 쓰다 보니까 빠빠, 콤마콤마를 구분하는 연습을 제대로 하게 되는 것 같다. 의식 안 하는 것 같으면서도 계속 신경이 쓰인다. 3) 가만 보면 elaborate도 참 한국에서 잘못 취급받고 있다. 이번 기회에 ‘한국에서 오인받고 있는 단어들’이라는 문서 파일을 따로 만들어야 겠다. 4) ‘The Great Gatsby (1)’ 번역 완료. 확실히 속도가 많이 늦춰진 것 같다. [“자자, 이 문제들을 두고 내 생각이 결정적이라고 생각하지 말아줘,”]: “final”의 번역을 잘했다. 6) [We walked through a high hallway into..
2021.09.22 -
2021/09/21: 추석 당일엔 아무 일도 하기 싫다
1) 오늘의 할 일: “The Great Gatsby (1)” 이어서 번역하기 및 3편으로 구분지어주기. 2) 한국어의 특징 중 하나는 바로 “주어를 생략하더라도 문제가 없다"이다.한국어의 특징 중 하나는 바로 “주어를 생략하더라도 문제가 없다"이다.한국어의 특징 중 하나는 바로 “주어를 생략하더라도 문제가 없다"이다.한국어의 특징 중 하나는 바로 “주어를 생략하더라도 문제가 없다"이다. 3) 영어: 형용사 축제. (부사를 두 개 이상 쓰면 확 과하다는 생각이 들게 된다.) 한국어: 부사 축제. (형용사를 두 개 이상 쓰면 확 과하다는 생각이 들게 된다.) 4) 오우, 오늘 집중력 최악인데? 5) 이미 과거에 벌어진 일들을 훗날 설명해주는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닉 캐러웨이의 대사를 모두 과거형으로 ..
2021.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