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6. 16. 17:15ㆍ매일/번역
1) “이” “그” “이러한” “저러한” 같은 표현은 전문장과 이어주는 역할로는 쓰지 말고 같은 한 문장 안에 두 가지 이상 내용을 담은 명제가 있고 그 와중에 또 중복되게끔 같은 대상을 지칭할 때에만 쓰도록 하자.
2)
::::: 경마문화 ::::: 즐거운경마! 신나는 시간!! 선진경마문화창조!!! - (주)레이싱미디어
제 목 김대유의 초보자코너-10월8일 배당률 어떻게 형성되나(2) - 배당률 어떻게 형성되나 (2) 지난호(199호)에 이어 배당률에 대해 계속해서 알아보겠다. 이번호에 주로 다룰 내용은 자신이 베팅한
race.krj.co.kr
요런 사이트도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정리: 경마 원리 / 배당이 다른 마권의 종류가 있는데,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얼마어치를 살 것이며 각각의 마권은 몇 번마에 걸겠다고 말한다. 그 후에, 자신이 베팅한 말이 1등할 시에, 그 배당률에 따라 돈을 받는 식인 것 같다.)
3) 경마장 사람들이 ‘paddock’을 실제로 ‘패덕’이라고 한다는 사실은 쫌 화끈한 것 같기도.
4) 헤밍웨이가 화끈한 하드보일드 작가인 이유중 하나는 레이먼드 카버처럼 마냥 글자수를 줄인다거나 필요없는 내용을 줄이는 미니멀리즘을 택하지 않고 자신이 하고 싶은 말만 한다는 점에 있는 것 같다. 이번에 단편소설을 보며 ‘and’라는 표현이 참 많이 나온다는 걸 깨달았고 이제 어떻게 하드보일드랑 미니멀리즘이랑 분간을 할지 그 감이 조금 생겼다.
5) “조지는 바지 버튼을 잠그면서 아버지쪽으로 고개를 숙여 굉장히 작은 목소리로 속삭였다.” 이게 맞아? 고쳐봐.
6) **오늘의 읽을거리(“하지 마 vs. 하지마”): 안녕하십니까?
어떤 보조 용언이든지 간에 보조 용언도 한 단어이므로,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쓴다는 원칙이 적용됩니다. 다만, 보조 용언은 몇몇의 경우에 붙여 쓸 수 있도록 허용하였는데, '-지 말다'의 짜임은 그 허용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띄어쓰기 원칙에 따라, '하지 마'로 띄어 적습니다. 아래에 붙여 쓸 수 있는 보조 용언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여 드리니 살펴보시기를 바랍니다.
<보기>
'한글 맞춤법' 제5장 띄어쓰기, 제3절 보조 용언, 제47항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해설
여기서 말하는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하는) 보조 용언은, (1) ‘-아/-어’ 뒤에 연결되는 보조 용언, (2) 의존 명사에 ‘-하다’나 ‘-싶다’가 붙어서 된 보조 용언을 가리킨다.
제15항 붙임 1에서 다루어진 ‘늘어나다, 돌아가다, 접어들다’처럼, ‘-아/-어’ 뒤에 다른 단어가 붙어서 된 단어의 예가 퍽 많다. 그리고 예컨대 ‘놀아나다, 늘어나다’에서의 ‘나다’와 ‘고난을 겪어 났다.’에서의 ‘나다’는 차이가 있는 것이지만, 얼른 생각하기로는 양자의 구별이 쉽게 이해되지 않는다. ‘-아/-어’ 뒤에 딴 단어가 연결되는 형식에 있어서, 어떤 경우에는 하나의 단어로 다루어 붙여 쓰고, 어떤 경우에는 두 단어로 다루어 띄어 써야 하는지, 명확하게 분별하지 못하는 곤혹을 겪기가 쉽다. 그리하여 ‘-아/-어’ 뒤에 붙는 보조 용언을 붙여 쓰자는 의견이 많았으나, 각 단어는 띄어 쓴다는, 일관성 있는 표기 체계를 유지하려는 뜻에서,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쓰는 것도 허용한 것이다.
한편, 의존 명사 ‘양, 척, 체, 만, 법, 듯’ 등에 ‘-하다’나 ‘-싶다’가 결합하여 된 보조 용언(으로 다루어지는 것)의 경우도 앞말에 붙여 쓸 수 있다.
다만, 의존 명사 뒤에 조사가 붙거나, 앞 단어가 합성 동사인 경우는 (보조 용언을) 붙여 쓰지 않는다. 조사가 개입되는 경우는, 두 단어(본용언과 의존 명사) 사이의 의미적, 기능적 구분이 분명하게 드러날 뿐 아니라, 제42항 규정과도 연관되므로, 붙여 쓰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 본 용언이 합성어인 경우는, ‘덤벼들어보아라, 떠내려가버렸다’처럼 길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띄어 쓰도록 한 것이다. (출처: 국립국어원)
7) “이후로 말이 한 마리씩 등장했고” 에서 “로”와 “고”가 겹치는 발음이다보니 리듬이 끊기는 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후로 말이 한 마리씩 등장했으며”가 더 나은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혹시나 기가 막히게 라임하는 위치에 비슷한 모음구조를 이루고 있으면, 그 때는 오히려 하는 편이 더 나을 것 같기도 하다)
8) *** 띄어쓰기맨이 되기 위한 자료: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027042831049.pdf *필독바람*
보카맨: 설령 그것이 ~를 의미한다 할지라도 / paddock / derby (in horse-racing) / 서슬이 퍼렇다 (서슬푸르게) / 하지v마 / pesage /grandstand / stable boy
'매일 > 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06/18 (0) | 2021.06.18 |
---|---|
2021/06/17 (0) | 2021.06.17 |
2021/06/15: CALL ME IF YOU GET LOST 1 (855) 444-8888 (0) | 2021.06.15 |
2021/06/14 (0) | 2021.06.14 |
2021/06/13: 기쁘다, 미고스 오셨네. (0) | 2021.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