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5. 18. 14:14ㆍ매일/번역
1) 간혹 왜 이전 문장과 그 다음 문장이 이어지지 않지? 할 때가 있었는데 오늘 보니까 그 사이에 “그리고"나 “그러나" 따위의 접속사가 숨어있었던 것이라는걸 새삼 깨달았다. 영문 책을 볼 땐 그 연결이 자연스럽게 다가왔는데 막상 한 문장 한 문장, 많게는 한 문단 한 문단, 좁게좁게 보다보니 그 문맥의 연결이 끊어진 것 같다. 무튼 한국어로 옮길 때는, 그 뉘앙스를 잘 캐치해서 적절한 부사로 문장들을 이어주는걸로.
2) “여겨왔던"이 아니라 “여겨 왔던"이라는데 도무지 띄어쓰기는 알다가도 모르겠다. 이러다가 띄어쓰기가 아니고 띄 어 쓰 기 라고 해도 반 박 할 수가 없을 것 만 가 ㅌ 다. 띄어쓰기는 우선 예상과 다른 구문이 보이면 바로바로 적어두는 걸로 해야겠다. (*반면에 “여겨지다"는 또 “여겨지다"가 맞다)
3) “Working-class Irish Americans”가 “아일랜드계 미국인 노동자들"로 번역된다는게 (이게 맞나?) 신기했다. 역시 순서가 한 구 안에서도 이렇게 뒤죽박죽 복잡한 언어의 세상
4) 이제 확실히 할 것이 abbreviation 은 글자 사이사이 그리고 마지막 글자 뒤에도 마침점을 쓰거나 아예 다 마침표를 하나도 적지 않아야 한다.
5) “빈번히"만 두고 봐도 그래. 맞는 걸 알면서도 잘 써본 적이 없으니까 “빈번이"같은 어이없는 표현이랑 헷갈리는거잖아. 우선적으로 한국어 규칙을 잘 숙지해야겠고, 둘 째로는 예외(워낙에 많지만) 경우들도 다 적어놔야겠지.
6) 영어에선 동사 뒤에 -r, 또는 -er을 붙임으로써 말도 안 되는 직업을 만들 수 있는 양상과 달리 우리나라 언어에선 -꾼, -장이 (를 우습게 보는 형편없는 시선 때문에 이렇게 되어버렸다고 생각하지만)를 사용한다고 모든 직업을 표현할 수 없고 실제로 한국에서 잘 없었던 직업을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7) 편지를 적을 때 편지말에 적는 "OOO 올림"과 "OOO 드림"의 차이는?
7)에 대한 답변 (출처: 국립국어원):
“표준 화법 해설”(국립국어원, 1992.) 일상생활에서의 인사말 , 편지 쓰는 법-서명란에 있는 아래의 정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보기>
서명란 쓰기
1. 윗사람에게: OOO 올림, OOO 드림
2. 동료에게: OO 드림
3. 아랫사람에게: OOO 씀, OOO가[허용]
4. 회사나 단체: OO 주식회사 사장 OOO 올림(드림)
오늘 단어장에 넣어둔 단어들: rugged / emasculated / 여겨 V 왔던 / outpost / calloused / 무명베짜기 / glare (1. -- 2. --) / monarch (we should learn some basic terms related to politics, dude. wake up.) / 빈번"히" / Celtic (어원) / 불티나게 (란 표현은 "팔리다" 앞에만 쓰이나?) / imposing (***nice word) / 대자보
'매일 > 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05/20 (0) | 2021.05.21 |
---|---|
2021/05/19: 사생팬의 반대말은 사생스타 (0) | 2021.05.19 |
2021/05/17: 비가 하도 와서 유통기한이 아직 이틀이나 더 남아있던 식빵에는 곰팡이가 (0) | 2021.05.17 |
2021/05/16: 과일 중에 으뜸은 단연코 파인애플 (0) | 2021.05.16 |
2021/05/15 (0) | 2021.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