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2. 19. 14:56ㆍ매일/번역
1) 오늘의 할 일: Public Domain Review’s “Still Farther South” 이어서 번역 하기.
*SAMPLE:
Symmes, a former army officer who moved between Kentucky, Missouri, and Ohio, believed that the surface of the earth was the outermost of five concentric spheres; its poles were flat and open, and one might travel smoothly from its extreme north or south into the globe’s interior. Lit and heated by reflected light,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phere (and the four smaller spheres it contained) was, Symmes contended, a “warm and rich land, stocked with thrifty vegetables and animals”.4 Declaring the chemist Humphry Davy and naturalist Alexander von Humboldt his “protectors”, he called for “one hundred brave companions” to depart with him “with Reindeer and slays” from Siberia across “the ice of the frozen sea” and into the earth.5 Reynolds, a captivating speaker, joined Symmes on a lecture tour and argued that the U.S. government should sponsor an expedition to test the theory.
켄터키 주, 미주리 주, 오하이오 주, 등등을 돌아다니며 군장교로 근무했던 적이 있던 심즈는 지구의 표면은 그 안에 있는 다섯 개의 표면 중에 하나 라고 굳게 믿었다. 각각의 극지에는 평평하고 열린 공간이 있었으며 누구든지 최남단이나 최북단을 통해 행성의 안쪽에 위치한 층으로 수월하게 넘어갈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 심즈는 바깥 구(그리고 그 안에 자리잡은 네 개의 또다른 구들)의 안쪽 면은 반사된 빛으로 따뜻해지고 불이 밝혀졌을 것이며 “따뜻하고 자원이 풍부한 땅이며 외부 세계에는 알려지지 않은 채소들과 동물들로 가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화학자 험프리 데이비(Humphry Davy)와 자연주의자 알렉산더 본 험볼트(Alexander von Humboldt)를 자신의 “경비원들”이라고 칭하며 심즈는 “사슴들과 썰매”를 끌고 “얼어붙은 바다의 떠다니는 얼음"을 가로질러 지구의 내부로 향하는 여정을 함께 떠날 “백 명의 용감한 동행자”들을 구했다.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연설을 할 줄 아는 레이놀즈는 심즈와 함께 강연을 하는 투어를 다니며 미국 정부가 그들의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떠나는 여정을 후원해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Symmes’ proposed polar entrance to his hollow earth, an illustration of which appeared in an 1882 edition of Harper’s New Monthly Magazine. Already, by the 1880s, it was possible for the article’s author to write: “Who Symmes was, and exactly what his theory is, seem to be definitely understood by but few people” — Source.
심즈가 주장하는 구멍 난 지구의 안으로 들어가는 입구의 모습. 이 그림은 하퍼가 소개하는 월간지(Harper’s New Monthly Magazine)의 1882년 발간호에 실렸다. 1880년대에 들어서서 이미 공식적인 잡지의 글을 쓰는 자가 “심즈가 누구였는지, 그리고 그가 주장하는 바가 뭐였는지는 굉장히 소수의 사람들에게만 온전하게 이해되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라고 충분히 말할 수 있었던 것이다. — 자료 출처.
When Reynolds later spoke on the topic to Congress — having abandoned Symmes’ theory, but not his interest in an expedition to the South Seas — Poe took up the cause in the Southern Literary Messenger.6 Nothing less than “national dignity and honor” were at stake, he wrote. The United States was called to the world’s store of knowledge: “As long as there is mind to act upon matter, the realms of science must be enlarged; and nature and her laws be better understood, and more understandingly applied”. An expedition would boost U.S. trade in whale oil, sealskins, sandalwood, and feathers. It should include a “corps of scientific men, imbued with the love of science”, to correct navigational charts and “collect, preserve, and arrange every thing valuable” in natural history and anthropology. They would document “man in his physical and mental powers, in his manners, habits, disposition, and social and political relations”, studying languages to trace human origins “from the early families of the old world”.
레이놀즈가 정부와 마지막으로 이야기 했을 땐 - 레이놀즈는 심즈의 이론은 멀리하고 남해로 탐사를 떠나고 싶은 마음은 굳건히 지킨 채 였다 - 포는 “남부의 문학 메신저(Southern Literary Messenger)”의 한 호에서 이 문제를 다루는 글을 기고했다. 포는 자신의 글에서 이는 “국가적 긍지와 영광"이 달린 문제라고 적었다. 미국은 세계의 지식을 위해 나서야 한다고 말이다: “한 문제를 밝히고자 하는 생각이 있는 한, 과학의 폭은 넓어져야만 한다, 그리고 자연과 자연의 법칙은 더 넓게 이해되어야 하며 그 이해심을 바탕으로 각각의 상황에 적용되어야만 할 것이다.” 이 항해를 통해 미국은 향유(고래 기름), 물개 가죽, 샌달우드, 그리고 깃털의 거래량을 확연히 늘릴 수 있었다. 그러기 위해서 심즈는 여정을 떠나기 전, 올바르게 항해 일지를 수정할 줄 알고 인류학과 전역사에 있어서 “귀중한 것들을 수집하고 보관하며 분류할 줄 아는”, “과학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부푼 과학인들의 집단”을 필요로 한다고 홍보했다. 그리고 그렇게 모인 이들은 다른 세상에 사는 “사람들의 신체적, 정신적 능력, 태도, 습관, 성격, 그리고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관계망”을 기록하며 “지난 세계에서 일찍이 동족이었을” 사람들의 언어를 공부하며 인간의 기원에 대해 고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오늘의 표현: sandal wood / seal / imbued with / boarding school / register (등록)*** / tabular / mutiny** / atocious / 폭동 / butchery / deliverance / latitude (위도) / versimilitude / draw on / 종용하다 / 한사코 / uncouthness / garb (verb. ~처럼 보이게 하다.)
'매일 > 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12/21: 스파이더맨 (0) | 2021.12.21 |
---|---|
2021/12/20 (0) | 2021.12.20 |
2021/12/18: 5:24 am. (0) | 2021.12.18 |
2021/12/17: Pink + White (0) | 2021.12.17 |
2021/12/16 (0) | 2021.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