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7. 29. 17:57ㆍ매일/번역
1) 오늘의 목표는 ‘가장 위험한 사냥감' (2) 퇴고 완료 및 (3) 퇴고 이어서 하기.
2) 앞으로는 매번 한 작품을 번역할 때마다 따로 문서파일을 만들어서 퇴고하면서 유의해야할 사항들을 적는 버릇을 들일 예정이다. ‘The Most Dangerous Game’에 (퇴고를 하는 이 시점에) 적용하기엔 이미 너무 늦었지만 그래도 미루면 다음에 시작할 때도 못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냥 한다.
3) [악수를 제안한 남성을 보며 레인스포드가 받은 첫인상은 그가 말도 안 되게 잘생겼다는 것이었다.] -> [레인스포드가 악수를 제안한 남성을 보며 받은 첫인상은 그가 말도 안 되게 잘생겼다는 것이었다.] : 퇴고를 할 때는, 이건 모든 문서작업에 적용되는 건데, 단순히 안 좋은 단어를 더 좋은 표현으로 바꿔준다거나 문법적인 오류를 다잡아주는 것 (또는 단어를 빼주거나 추가하는 일) 외에도 신경써주어야할 것이 많이 있다. 위에서는 그 첫 번째 예로 과연 같은 표현이라도 문장 속 어디에 위치하냐에 따라 얼마나 더 잘 읽힐 수 있는지 보여주고 있다.
4) 시덥잖은 질문이더라도 국립국어원에서 써놓은 답변들을 읽으면 정말 배우는게 많다 (뿜어 나오다 vs. 뿜어져 나오다): 안녕하십니까? 문의하신 바에 대해 아주 자세하게 설명드리기는 어렵습니다.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고 가지고 계신 문법서를 살펴보시기를 권합니다. '뿜다'는 '무엇을 뿜다'의 꼴로 타동사로 쓰입니다. 따라서 '뿜다'는 '물을 뿜다'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그런데 '뿜어지다'로 표현을 할 때에는 '무엇이 뿜어지다'와 같이(예를 들어 '물이 뿜어지다'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뿜다'의 목적어가 '뿜어지다'에서는 주어로 나타나고 따라서 '뿜어져 나오다'가 쓰일 표현에 '뿜어 나오다'를 쓸 수 없습니다. 한편, '뿜어 나오다'라는 표현은 의미적으로 어색합니다. 참고로, '무엇을 뿜다'와 같이 쓰이는 맥락이므로 '무엇을 뿜어 나오게 하다' 정도의 의미로 쓰일 수 있을 듯합니다. 또한 '쏟아지다, 터지다, 떨어지다'와 같은 동사가 있기 때문에 '쏟아 나오다, 터 나오다, 떨어 나오다'를 쓰지 않는 것은 아니겠습니다. '쏟다, 트다, 떨다'는 목적어와 쓰이고 '나오다'는 목적어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해 보신다면, 그리고 또 의미적으로 생각해 보시다면 '쏟아 나오다, 터 나오다, 떨어 나오다'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기어 나오다'는 어떤 곳을 기어서 나오는 것이므로 기는 행위를 할 수 있는 자가 나오는 행위를 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의미적으로 '기어져 나오다'로 표현하기 어렵습니다. '새어 나오다, 묻어 나오다'는 '새다'와 '묻다'가 목적어를 취하지 않고 각 어휘의 의미를 고려한다면 '새어져 나오다, 묻어져 나오다'는 의미적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가지고 계신 문법서에서 피동과 관련된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출처: 국립국어원)
5) 오늘의 문장****: [“러시아 출신인가보죠?”]의 올바른 띄어쓰기 용법은? - a. '인가'는 '이다'가 활용한 것인데 '이다'가 조사이므로 앞말에 붙여 씁니다. - b. ‘OO’과 ‘출신'은 각 단어이기 때문에 ‘출신'은 띄어서 쓴다. - c. ‘-나 보다’, 형용사의 어간 뒤에는 ‘-(으)ㄴ가 보다’의 형태가 쓰이는데, 이때의 ‘보다’는 보조 형용사로서의 용법으로 봅니다. - d. 그러므로 “러시아 출신인가 보죠?”가 맞다.
6) “그 어떤 -”이라는 표현을 너무 남발하는거 아니야? 그것도 그렇고 “그"를 너무 자주 쓰는 느낌도 든다.
7) 지금 사십오분을 넘게 퇴고를 하면서 구글 닥스 상으로 삼 페이지도 못 넘겼는데 오히려 이거야말로 퇴고할 때 알맞은 속도가 아닐까, 생각이 든다.
8) “저는 제 사냥감을 놓쳐본 적이 없습니다, 단 한번도 말입니다.”라는 구절이 있는데 사실 이건 인터넷에서 떠도는 밈같은 거지만 나름 효과가 뛰어나다고 생각해서 강조를 위해 “단 한.번.도. 말입니다.”라고 바꿔주었다. 잘한듯?
9) ‘가장 위험한 사냥감' (2) 퇴고 완료
詞彙: 서려 있다 (?) / 뿜어져 나오다 / 뿜어내다 / 진정으로 / Czar @ Russia (황제 / 군주 / 대공 ... 뭐가 맞아?)
'매일 > 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07/31 (0) | 2021.07.31 |
---|---|
2021/07/30 (0) | 2021.07.30 |
2021/07/28 (0) | 2021.07.28 |
2021/07/27 (0) | 2021.07.27 |
2021/07/26 (0) | 2021.07.26 |